제1회 평의원회: 2018년 사업계획, 사무국장/간사 인준, 교권옴부즈만 선출, 2017/
1. 일시: 2018년 1월 10일 12시
2. 장소: 교수학습지원관 회의실 1206
3. 안건: 2018년 사업계획 보고, 사무국장, 간사 인준, 교권옴부즈만 선출, 2017년 /18년 재정 보고 등
4. 성원확인: 총원 33명/결원 14명/참석인원 19명
□ 교수회 임원
직 책 |
성 명 |
소 속 |
의장 |
소영진 |
도시행정학과 |
부의장 |
이대식 |
전자전기공학부 |
부의장 |
이정복 |
한국어문학과 |
사무국장 |
서요성 |
독어독문학과 |
□ 단과대학 평의원
의장 |
윤관희 |
영어영문학과 |
평의원 |
임승현 |
체육학과 |
평의원 |
김명광 |
국제한국어교육과 |
의장 |
나태영 |
법학과 |
평의원 |
박길환 |
행정학과 |
의장 |
박홍조 |
회계학과 |
평의원 |
류성진 |
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|
의장 |
원효식 |
생명과학과 |
평의원 |
강수태 |
건설시스템공학과 |
평의원 |
박철재 |
기계공학부 |
평의원 |
홍원기 |
정보통신공학부 |
평의원 |
김창훈 |
컴퓨터정보공학부 |
의장 |
박태호 |
원예학과 |
평의원 |
엄기서 |
시각디자인학과 |
의장 |
장희흥 |
역사교육과 |
평의원 |
홍성욱 |
과학교육학부 |
1) 교수회 의장 인사말
2) 의장단 및 평의원 소개: 20명
3) 2018년 사업계획 설명
① 교수회 조직: 의장단 + 사무국장 + 5명 간사 + 3개 특별위원회
② 사업계획
- 5월 총장선거: 이사회 복수 후보 요구 건에 대한 숙의, 선거관리 규정 정비, 투표권 비율 협의 - 동창회, 학생회 참여 여부
- 법인 정상화
- 공영형 사립대 준비
- 교수회 총회 2회(6월, 12월) 개최: 6월 총회 감사 선임 시도
- 12월 총회에 현 교수회 신임 투표
- 학내 중요 이슈 부상 때마다 정책 토론회 개최: 예, 구조조정, 에이스 사업
③ 운용계획
- 사무국 역할: 교수회 통신 정기 발행(전달사항이 많으면 실시간 전달), 백서 발간을 위한 문건 정리
- 3개 특별위원회 역할
A. 재정특별위원회: 총장과 기획처장과의 면담을 통한 불요불급한 예산 조정, 보직 수당 30% 삭감 및 운영비 20% 삭감에 대한 대처 → 급여성 경비(복지비, 통신비) 삭감 반대, 재정 적자에 대한 원인 조사(구조적 문제에 대한 경영 컨설팅 의뢰 숙고)
B. 교권특별위원회: 교권옴부즈만 활동( 교수 개개인에 대한 부당 처우, 본부 행정 불합리, 교권침해), 홈페이지에 제보센터 설치
C. 기획특별위원회: 원칙 없는 구조조정에 대처 → 학과 역량평가가 구조조정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됨, 학교의 불합리한 규정 수정
- 간사 역할: 본부의 소관위원회에 교수회 대표로 참여하여 교수회 의견 제시
4) 사무국장, 간사 인준
① 사무국장(서요성 교수), 간사 2인 (기획간사: 서병부 교수, 교무간사: 이종삼 교수) 평의회 동의
② 평의원의 사전 동의로 나머지 3명의 간사 선임 예정
③ 교권옴부즈만 6명: 교권특별위원회위원장(이정복 교수) + 간사 + 4인 위촉은 교수회 위임
5) 2017년, 2018년 재정보고:
① 교수회 재정 삭감과 그에 대한 설명: 2016년, 2017년 예산 삭감과 교수회 운용의 어려움
② 2018년 교수회 예산 삭감(20%)에 따른 대응: 미집행내역 설명, 교수 개개인에 대한 지원금 부족에 대한 대처 → 예산 적자에 대한 면밀한 조사 필요, 급여성 경비 축소 반대 설명, 본부에 해결부탁, 2018년 예산을 2017년 예산 정도로 요구
③ 평의원 1 제안: 회의비(9백만원) 절약 방안 - 식사 대신 과일, 음료 대체
평의원 2 제안: 회의비 절약 문제는 총회 결정 바람직
평의원 3 제안: 평의원회가 점심시간에 열리는 이유 보충설명
→ 교수회 답변: 교수회의 절약 솔선수범, 회의비는 총회 결정, 회의비 축소 숙의, 6월까지 정상 집행
6) 기타 안건 및 건의 사항
① 법인문제 돌출상황 설명: 2011년 사분위의 정이사 체제 이후 2017년 12월 구재단 승소까지의 추이 설명 → 예측 상황: 사분위 위상 의문, 사립학교법 개정 문제, 1월말에 현 임시 이사 체제 이후 긴급처리권 행사 주체 문제, 임시이사 체제 지속 가능성, 정이사 체제의 즉각 시행 반대
② 조교문제: 학과 총원 200명 미만의 경우에 전일제 조교에서 장학 조교로 전환 가능성에 대한 대처 → 학과와의 사전협의 없는 행정 관행의 문제점 지적
③ 학과역량평가 결과(전임 130% 전공강의 담당)가 구조조정의 원칙으로 되는 것은 불합리 지적
④ 복지비, 통신비 폐지 반대
⑤ 건의
평의원 4 제안: 평의원회 안건 중 핵심 안건은 최소 1주일 전에 사전 통지 부탁
→ 교수회 답변: 동의, 제보센터 배너 개설
평의원 5 제안: 노조로서의 역할 부탁, 정치적 판단보다 교권 수호에 최선 부탁, 교수의 급여 상승, 관료주의적 행정 지적
→ 교수회 답변: 처우 상승 노력, 교권 회복 노력
평의원 6 제안: 포털에 제보센터로서의 배너 설치, 공감/비공감 없앰
→ 교수회 답변: 포털에 제보센터 설치 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음
교수회 정기 통신 약속
⑥ 교권옴부즈만 추천: 윤관희, 함요상, 장희흥, 박철재 교수 이상 4인
7) 폐회